북한이 5일 인공위성을 실어 쏘아올린 발사체 '은하2호'에 대해 기존 미사일 능력보다 사거리 등이 진전됐다고 정부 당국자가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6일 오후 "북한이 위성발사를 시도한 것으로 보이지만, 위성의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면서도 "이번 발사로 북한 미사일 능력이 진전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비록 인공위성의 궤도 진입 실패했다고 하더라도, 미사일 능력의 발전이 있기 때문에 북한의 이번 로켓 발사는 성과가 있었다'는 분석이다.
그는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로켓이 1998년 북한이 발사한 '백두산 1호(대포동 1호)' 보다 1단 로켓과 2단 로켓의 비행거리가 더 늘어난 점을 근거로 들었다. 당시 1단 로켓은 발사장소로 부터 거리가 253km, 2단 로켓은 1,646km 지점에 낙하했지만, 이번에는 1단계 로켓은 650km 지점에, 2단계 로켓은 3,100km 이상 날아간 것으로 추정된다.
2단계 로켓 낙하 지점에 대해서는 "3,600km로 신고한 2단계 위험지역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추가적인 분석을 해야만 (정확한 수치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한이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기술 수준을 보여줬다는 판단은 성급한 것이라며 "날아가는 것뿐만 아니라 재진입 등 복합적인 것이 걸리기 때문에 탄도미사일로 직접 연관 짓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의 로켓 발사는 그 능력이 장거리 미사일 기술로 전용될 수 있다"며 "위성 발사라고 하더라도 탄도미사일 발전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위성의 궤도 진입 실패’ 근거에 대해서는 이 당국자는 "2단 탄체와 탑제체를 포함한 3단 탄체가 태평양 상에 낙하됐다"는 미국측 분석을 확인하면서 "궤도 상에 정상적인 물체도 없었고, 비행궤적을 추적하는 과정에서도 정상적인 비행을 하지 못한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쟁점이 되고 있는 '2단과 3단 로켓의 분리 여부'는 추가적인 분석 결과가 나와 봐야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