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생강나무. [사진-정관호]
생강나무
꽃샘을 미리 알아서 일찍 마중나온 노란 손들 찬바람 아직 스산한 골짜기에 뿌린 듯 피어났구나
떨기는 작아도 매워 잔가지에 생강 내음 오르고 안으로 안으로 삭이는 그 인고 또한 모질구나
민초가 허기져 굶주리면 어린 잎을 먹을거리로 내주고 고뿔 들린 꼴머슴에겐 통째 삶기어 첩약을 대신한다
이 강산 어느 두메서나 낮은 키로 잘 자라고 노랗게 물드는 단풍 은근스럽게 가을을 꾸민다
너를 기인 줄 알아보는 이 설혹 저마다가 아닐지라도 서운타 여기지 말고 지닌 본성대로 꿋꿋이 자라거라.
▲ 생강나무, 숫그루 꽃. [사진-정관호]
▲ 생강나무, 암그루 꽃. [사진-정관호]
▲ 생강나무, 가을 단풍. [사진-정관호]
도움말
생강나무는 산에서 자라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다. 전라도에서는 ‘아구사리’ 또는 ‘아우사리’로, 강원도에서는 ‘동백꽃’이라는 고장말로 불린다. 어린 가지와 이파리를 씹으면 생강 맛이 난다. 암수딴그루(雌雄異株)로 3월이면 우산꽃차례(傘形花序)의 노란 꽃을 피운다. 그 꽃 모양이나 꽃이 피는 절기가 산수유와 겹치므로 가끔 혼동된다. 어린 순은 먹고 말린 가지는 약재로 쓰며, 가을에는 노랗게 물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