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산마늘(새싹). [사진-정관호]

                                                            산마늘

                                                 꽁꽁 얼어붙은 땅을 찢고
                                                 두꺼운 낙엽 더미를 들치며
                                                 치솟는 그 뜨거운 열기

                                                 잎을 말아서 송곳으로 만들어
                                                 여기 삐죽 저기 삐죽
                                                 밀고 올라오는 그 야성의 힘

                                                 잎이 활짝 펼쳐져서
                                                 햇볕 한아름 안을 때
                                                 그 싱그러운 푸르름
 
                                                 솟는 꽃대야 그렇다 치더라도
                                                 동그스름 모여 피는 하얀 꽃송이

                                                 소나기가 잎을 때리며
                                                 방울져 튀기는 모양은
                                                 심산유곡 아니라도 적이 유현하고

                                                 그것저것 다 못 보더라도
                                                 이른 봄의 그 새순 솟음은
                                                 꼭 보아둘 만한 야초 산마늘.

▲ 산마늘(어린 잎). [사진-정관호]

▲ 산마늘(꽃). [사진-정관호]

도움말

산마늘은 중부 이북의 깊은 산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그 몸에서 마늘 냄새가 나므로 이렇게 불린다. 뿌리는 비늘줄기(鱗莖)이며 이른 봄에 순이 솟는다. 5~6월 경에 파꽃 비슷한 꽃이 우산꽃차례(傘形花序)로 핀다. 파ㆍ마늘ㆍ부추 등과 속(屬)이 같다. 잎도 뿌리도 먹을 수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