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로동신문>은 7일자 ‘평화적인 우주이용 권리는 누구에게나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최근 이란의 인공위성 발사를 예로 들면서 북한도 우주이용 권리가 있다며 우주진출에 강한 의욕을 나타냈다.

신문은 “지난 2일 이란이 이슬람교혁명승리 30돌을 맞으며 자체로 제작한 운반로케트로 과학연구 및 통신위성을 쏴 올려 궤도에 진입시켰다”면서 “이란의 이번 위성발사는 자기 나라의 국력을 시위하는 것으로 될 뿐 아니라 우주개발과 그 이용에서의 독점권이란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세계에 보여준 것으로 된다”고 그 의의를 밝혔다.

그런데 미국 등이 “이란의 위성운반 로케트 발사가 탄도미사일 기술개발을 위한 것”이라며 시비질하고 있다면서, 우주개발과 그 이용이 평화적 성격을 띠고 인류의 복리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대해 그 누구도 시비질하며 뒷다리를 잡아당기지 말아야 한다고 훈계했다.

즉, 무한대인 우주공간에는 지구의 땅덩어리나 바다에 그어놓은 것과 같은 국경선이나 경계선, 관할권 등이 존재하지 않기에 우주는 전 인류의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영토가 크든 작든, 인구가 많든 적든 관계없이 우주진출 권리는 세계 모든 나라들에 다 있으며,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바란다면 어느 나라든지 임의의 시각에 우주에 진출하여 그것을 평화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신문은 과학기술과 경제발전을 위해 우주로 진출하는 것이 필수적 요구라면서 “어느 나라나 할 것 없이 너도나도 다 위성을 쏴 올리는 것은 오늘의 시대적 추이”이기에 “베트남, 인도, 태국, 벨로루시, 베네수엘라 등 많은 발전도상나라들이 경쟁적으로 우주이용에 달라붙고 있다”고 소개했다.

신문은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한 성원국으로서 우주진출의 선택권, 우주과학기술 경쟁에 나설 당당한 권리가 있다”면서 북한이 얼마 전에 평화적인 우주연구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들을 꾸려놓고 북측 과학자, 기술자들이 우주를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을 알렸다.

신문은 “우리 공화국의 평화적 우주진출과 그 이용정책은 시대적 발전에 부합되는 정당한 것이며 이를 막을 힘은 그 어디에도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