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동백나무. [사진-정관호]

                                                    동백나무 

                                         남쪽 영호남 바닷가와 제주도 
                                         그 따뜻한 고장에서 자라지만 
                                         시와 노래로 많이 읊어져서 
                                         이제 모든 이의 나무가 된 동백 

                                         두껍고 야들한 이파리의 윤기 
                                         짙붉은 다섯 조각 꽃송이의 위엄 
                                         비길 데 없는 그 자태로 하여 
                                         칭송과 갖가지 설화가 빚어진다 

                                         나무에서 바로 꽃이 피었다가 
                                         송이째 뚝 떨어지는 미완의 생명 
                                         몸 떨리게 하는 그 처연한 모습이 
                                         못다 살고 가는 젊은 목숨 같다 

                                         나무 자체로 쓰임새가 넓지만 
                                         까만 씨앗에서 짜낸 기름은 
                                         찌거나 늘어뜨린 여인의 머릿단을 
                                         좋이 빗겨내려 아련히 흐른다 

                                         가루받이 동박새의 꽃놀이 정겹고 
                                         지는 꽃송이를 얼굴로 받고 싶은 
                                         남쪽 나라 전설의 독백섬 
                                         거기서 이 한겨울 꽃이 피고 진다.

▲ 동백나무(겹). [사진-정관호]

▲ 동백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도움말

동백나무는 남쪽 다뜻한 바닷가를 좋아하는 늘푸른작은키나무(常綠小喬木)다. 키는 보통 7미터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두껍고 광택이 난다. 겨울이 한창일 때 가지 끝에 붉은 꽃(드물게는 흰 꽃)이 핀다. 벌나비가 채 나돌기 전이라 동박새가 가루받이를 돕는 조매화(鳥媒花)다. 씨로는 기름을 짠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