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기린초, 이른봄. [사진-정관호]

                                                      기린초 

                                           여느 풀들은 다 꼬들아져서 
                                           그 뼈대만 앙상할 때도 
                                           끝내 이울어들 줄 모르고 

                                           북풍 모진 겨울을 나고 
                                           눈이 녹을락말락 할 때 
                                           벌써 그 살찐 이파리에는 혈색이 돈다 

                                           캄차카 풀이라는 이름 때문인지 
                                           그 빳빳한 줄기의 버팀 때문인지 
                                           한겨울에도 기세가 꺾이지 않고 
                                           오히려 설한풍 찬서리가 무색하구나 

                                           북국의 아이들이 저러하거늘 
                                           손이 곱고 터서 갈라지고 
                                           볼이 그물 무늬로 얼어 터져도 
                                           콧김 뜨겁고 초롱한 눈빛 영롱하거니 

                                           봄 일찍 태동하는 풀과 나무들이 
                                           오히려 그 앞에서 주저할 만큼 
                                           저토록 야무지니 그 꽃 기다려지누나.

▲ 기린초, 여름. [사진-정관호]

▲ 가는기린초. [사진-정관호]

▲ 태백기린초. [사진-정관호]

도움말

기린초는 산이나 야지 풀밭에서 자라는데, 북방계의 풀 답게 추위에 아주 강하다. 굵은 줄기가 모여 나고 수분이 많은 살찐 잎으로도 겨울을 거뜬히 난다. 6~7월 경 가지 끝에 노란 꽃을 피우는데, 무리져 필 때는 가관이다. 여러 변종이 있지만, 가는기린초가 원종(原種)이라는 견해가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