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때마침 징검다리 철이라서 덤불로 하얗게 핀 꽃은 주목을 받고 가루받이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빨간 열매들이 흐드러지게 익을 차례다
다만 그 씨열매와 낙엽 더미에서 고약스런 냄새가 나는 것이 흠인데 그것도 스스로 터득한 지혜일 터
불두화 수국백당 들의 모종이고 많은 변종을 거느린 우두머리 나무.
▲ 백당나무, 꽃. [사진-정관호]
▲ 수국백당나무. [사진-정관호]
도움말
백당나무는 전국 각지의 계곡과 산기슭에 자생하는 갈잎좀나무(落葉灌木)로 3미터 정도의 키에 많은 줄기를 내어 덤불을 이룬다. 손바닥 모양의 잎은 끝이 세 가닥으로 찢어지며 뒷면에 털이 있다. 5~6월에 원반 모양의 꽃이 피는데 가장자리에는 무성화(無性花), 그 안쪽에는 유성화(有性花)가 우산꽃차례(傘形花序)로 핀다. 9~10월에 씨열매(核果)가 열롱한 붉은색으로 송이져 익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