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구절초. [사진-정관호]

                                                            구절초

                                                 이 강토 이곳저곳에
                                                 고을 이름을 얹은 구절초가 있어
                                                 생김새도 조금씩 다르고
                                                 그에 얽힌 민담도 가지가지

                                                 그래서인지 가을 느지막이
                                                 산야를 물들이는 꽃송이들은 
                                                 흰색 분홍색 자줏빛 연보라
                                                 피는 때맞춤도 이른 것 늦은 것

                                                 그 끈질기면서도 향기짙은 떨기를 
                                                 매양 기리던 선인들은 
                                                 그 꽃으로 술을 빚어
                                                 송수의 잔으로 주고받았으니

                                                 이른 봄 싹틈은 남에서 북으로
                                                 늦은 가을 꽃핌은 북에서 남으로 
                                                 그래서 낙동 한라까지 이울 쯤이면
                                                 이 강산에 고루 첫눈발이 날린다.

▲ 바위구절초. [사진-정관호]

▲ 서흥구절초. [사진-정관호]

도움말

구절초(九節草)는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인데, 9월 9일이면 아홉 마디가 된다고 해서 그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전 국토에 걸쳐 자라며, 고장에 따라 그 모양이 조금씩 다르므로 그 고을 이름을 얹어서 부르기도 한다. 키는 50센티 내외인데 땅속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9~10월에 흰색 또는 연보라색으로 피는 꽃이 정겹고 우아해서 사랑을 받는다. 전초는 약으로 쓰는데 특히 부인병에 좋다고 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