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중국 접경지역인 신의주 일대에 대규모 경제특구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남북포럼(대표 김규철)이 1일 주장했다. 남북포럼은 이날 오전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주장하면서, 그 근거로 '신의주+위화도 특구 개발 사업개요'를 입수했다며 그 일부를 공개했다.
남북포럼 김규철 대표는 A4용지 100페이지 분량의 이 문건에 대해 "북한 정부의 위임으로 중국 소재 한 국제컨설팅회사가 작성한 것"이라며 이 회사측으로부터 문건을 입수했다고 밝혔다. 그는 "소식통에 의하면, 지난해 12월과 금년 1월 이내에 북한 당국의 총리실에도 이 문건이 전달되서 상당한 진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남북포럼측에 따르면, '신의주 +위화도 특구' 개발 사업은 북한의 내각이 토지를 출자하고 해외 민간사업자들이 자본을 출자하는 방식으로 계획돼 있다.
사업기간은 올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기반시설이 들어서고, 입주시설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로 예정돼 있다. 김규철 대표는 기반시설 착수 시점에 대해 "1-2개월 늦어지는 같다"면서 "내년 초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신의주 + 위화도 특구'는 1단계 대규모 유통단지 → 2단계 외국인 기업 전용단지 → 3단계 자유무역지역 지정과 외국인 투자지역 지정의 순으로 개발될 예정이라고 남북포럼측은 밝혔다.
이날 공개된 '신의주 유통단지 개요'에 따르면, 도매유통단지는 신의주 일원 837,721㎡ 부지로 조성되며 무역센터와 생필품.공산품 도매단지, 물류단지.지원시설 등이 들어선다. 김 대표는 "북한의 생필품 의존의 70%가 중국이니까 자체 생산해서 예산도 줄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해외수출도 해서 개방하려는 계획인 것 같다"고 말했다.
남북포럼은 이날 자료를 공개하면서 "북한은 현 정부의 합의사항 불이행으로 현 정부 임기 동안에는 대남 경협 의존도를 최소화하면서 한편 대중 의존도는 높이고, 아울러 북-미, 북-일, 북-유럽, 북-러 경협관계를 촉진시키려는 근중원남(近中遠南) 전략을 계획 중"이라면서 "북한의 '신의주+위화도 특구' 개발 올인으로 개성공단의 축소 및 전면 재검토 가능성이 높다. 남북은 조속히 입장을 밝혀 더 이상의 기업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현범 기자
cooldog893@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