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산 국
산지의 벼랑 바위 끝에서
뿌리를 박고 태어난 억척이
볕이 잘 드는 마른 땅이면
저수지 방죽에서도
비탈진 길가 밭둑에서도
새끼를 마구 치는 다산모
줄기에서 이파리에서
더더욱 가을 꽃철에는
빼곡이 피는 꽃송이에서
짙은 향기를 내뿜는 그 야성
그래서 멋을 즐기는 점잔이
맛을 즐기는 모주꾼
허기를 채우는 농군 할 것 없이
저저이 술에 빚어넣는 향미료
멀리 푸른 들풀 사이에서
가까이 과수원 철조망 아래서
노랗게 점점이 눈에 띄거든
손으로 만지고 코로 맡아 보시라
마을로 꺾이는 동구밖 언저리
학교로 들어가는 교문 변두리
공공건물 양켠 화단 가장자리
그런 데다 이 꽃풀을 총총 심었으면
들어가고 나올 적마다
키를 낮추어 그 떨기와 입맞추면
수복강녕 자손번영 하리다
학문성취 입신양명 하리다
감국과 더불어 받들어 모실
국화 할아버지 산국 조상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