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좀작살나무. [사진-정관호]

                                                     좀작살나무

                                            가지 뻗음새가 작살 같다고 
                                            붙여진 이름 작살나무 
                                            그보다 좀스럽다고 좀작살나무 

                                            산기슭 큰키나무 아래 
                                            사실은 그토록 서슬 푸르지는 않게 
                                            모닥이 자라는 떨기나무 

                                            마주나는 잎 겨드랑이 마다 
                                            소담스레 모여 피는 꽃송이는 
                                            그 향기 제법 그윽한데 

                                            그보다는 가을에 익는 
                                            보라색 열매가 현혹스러워 
                                            반지를 촘촘히 낀 손 같다고 할까 
                                            씨알 고운 어란 모둠 같다고 할까 

                                            그 다닥다닥 붙은 열매를 
                                            새들이 또 기를 쓰고 쪼니 
                                            이 나무의 미인계도 알아줄 만 

                                            스치다가도 공연히 손이 뻗어 
                                            만지고 싶어지는 숲속의 보석 
                                            그 가운데는 젖빛 열매로 익는 
                                            흰좀작살나무도 섞여 있어 
 
                                            이름을 갈아주고 싶은 
                                            꽃반지 알반지 좀작살나무.

▲ 흰작살나무. [사진-정관호]

▲ 작살나무. [사진-정관호]

도움말

좀작살나무는 산기슭에서 자라는 키 1~2미터 정도의 갈잎좀나무(落葉灌木). 그 생김새는 작살나무와 비슷해서 마주나는 잎은 길둥근데, 그 겨드랑이에 피는 송이꽃은 가을에 보라색의 고운 자주색 씨과실(核果)로 익는다. 그 열매가 흰 색깔인 흰작살나무도 있다. 요즘은 공원 같은 데 조경용으로 심어 가꾸기도 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