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누리장나무. [사진-정관호]

                                                                   누리장나무

                                                     하얗게 별 모양으로 피는 통꽃
                                                     다섯 가닥 또렷한 열매
                                                     빨간 꽃받침에 싸여 벽옥으로 익건만

                                                     사람이 가까이 가기 싫어하는 까닭은
                                                     그 몸에서 나는 냄새 때문

                                                     그래서 산길 가장자리에서도
                                                     제 수명껏 꽃피고 꽃지고
                                                     많은 잔가지 그대로 좋이 성타

                                                     만약에 그렇지 아니했으면
                                                     남아나지 못할 만큼 잘 생겼는데
                                                     제 스스로 그 길을 택한 영특한 나무

                                                     귀여움을 받을 만한
                                                     그러면서도 사람을 저만치 
                                                     떨어져 있게 만드는 누린내 나무.

▲ 누리장나무. [사진-정관호]

도움말

누리장나무는 마편초과에 딸린 갈잎좀나무(落葉灌木). 키는 3미터 정도, 황해도 이남의 산기슭이나 바닷가에서 자란다. 잎은 길둥근꼴로 마주나며 잎 뒷면 맥에 털이 나 있다. 꽃은 8~9월에 취산꽃차례로 피며, 5개로 갈라진 꽃잎은 희고 꽃받침은 붉다. 열매는 10월에 파랗게 익는다. 온 줄기에서 누린내가 나므로 그 이름이 생겼다. 가지와 뿌리를 약으로 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