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용담. [사진-정관호]

                                                            용 담

                                                    긴 여름 내내 
                                                    뜨거운 볕 아래서 
                                                    참고 마디게 자라다가 

                                                    천둥 번개 소나기 
                                                    다 받고 다 맞으면서 
                                                    군소리 한 마디 없다가 

                                                    서늘한 바람이 조금씩 일기 시작하면 
                                                    그제야 꽃망울을 추스른다 

                                                    양껏 받은 햇볕과 
                                                    받들고 붙좇던 하늘과 
                                                    그것이 어울려서 진자주 꽃색깔이 되고 

                                                    그 인고와 정성은 
                                                    또 뿌리로 내려가서 
                                                    천하에 제일 쓰다는 영약으로 가라앉는다 

                                                    그를 닮은 동기들 가운데 
                                                    이파리가 좁고 뾰족한 칼잎용담은 
                                                    서슬 퍼런 우리 고장의 특산종이다.

▲ 칼잎용담. [사진-정관호]

도움말

용담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네모져 비스듬히 자라고, 이파리는 잎자루 없이 마주난다. 9~10월에 줄기 끝이나 위 잎 겨드랑이에 종 모양의 자주색 꽃을 피운다. 위를 향해 피는 꽃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그 갈라진 사이에 작은 조각(副片)이 있다. 뿌리를 건위(健胃) 등 약제로 쓴다. 그 종류가 다양하며, 봄에 피는 ‘구슬붕이’도 같은 무리에 든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