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싸리. [사진-정관호]

                                                                    싸 리

                                                         묵은 가지로는 빗자루
                                                         당년 가지로는 삼태기
                                                         쪼갠 개비로는 채그릇
                                                         벗긴 껍질로는 동아줄 

                                                         결어서는 외
                                                         엮어서는 사립문
                                                         잘라서는 윷짝
                                                         꺾어서는 회초리

                                                         송이진 꽃에서는 꿀 
                                                         진을 내서는 부스럼 약

                                                         붉게 그리면 화투 칠싸리
                                                         속을 후비면 송광사 큰구유
                                                         산비탈에 심으면 사방조림

                                                         골라 베어서 꼴 
                                                         마구 쳐서 두엄 

                                                         불땀 좋기로는 일등
                                                         연기 안 나기로는 이등

                                                         하나 버릴 것 없는 복나무 
                                                         생활 변두리의 민초 나무
                                                         떨거지를 거느린 대가족 나무

                                                         이름을 좋게 가져 참싸리
                                                         울타리로 알맞춤 조록싸리 
                                                         키낮은 땅딸보 좀싸리
                                                         맨 나중에 피어서 늦싸리

                                                         거기에 꽃이 예쁜 꽃싸리가
                                                         이름도 맵시도 계집애 같다.

▲ 늦싸리. [사진-정관호]

도움말

싸리는 콩과에 딸린 갈잎좀나무(落葉灌木), 키는 2~3미터 높이로 자라며, 어긋나는 세쪽잎은 길둥근꼴이다. 7~8월에 붉자주빛 나비 모양의 꽃을 피운다. 콩과식물이므로 뿌리혹박테리아로 공기중의 유리질소를 고정하는 구실을 하므로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 그리고 꽃이 귀한 가을철의 좋은 밀원(蜜源)이 된다. 사방공사용으로 많이 심으며, 잎과 꽃은 약제로 쓰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