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 (전 <전남로동신문> 주필)

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배롱나무. [사진-정관호]

                                                          배롱나무

                                           참매미 울음 소리 자지러지는
                                           한여름 산사(山寺) 뜰에서
                                           혹은 고옥의 흙담 옆에서
                                           진분홍 큰 이삭으로 피는 나무

                                           줄기는 매끄럽게 벗겨져
                                           간지럼을 탈 만도 하고*
                                           다른 꽃들이 쉬거나 아니 피는 때에
                                           홀로 선연히 그 색깔 두드러진다 

                                           열흘 가는 꽃이 없다지만
                                           장장 백일을 내리 이어서 피니
                                           목백일홍이라는 별명도 격에 맞고 

                                           외대로 선 그 깔끔한 매무새가 
                                           몸닦는 이의 모범으로 숭앙되어선가
                                           아니면 긴 기간의 꽃핌이 
                                           무상의 세월을 위무해선가

                                           요즘은 정원수나 가로수로도 심고
                                           도화(道花)로 지정한 고장도 있다 하니
                                           그 성가는 더욱 높아지고 있는 듯

                                           흰 꽃을 다는 흰배롱나무도
                                           드물기는 하지만 더러 볼 수 있다. 

                                        * 매끄러운 수피(樹皮)를 손톱으로 긁으면
                                           나무 전 체가 간지럼을 타듯 떤다고 해서
                                           간질나무’ 또는 ‘간지럼나무’라고 불려왔다.

▲ 흰배롱나무. [사진-정관호]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