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 (전 <전남 노동신문> 주필)

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6.25한국전쟁 당시 재산기관지 <전남 노동신문>의 주필이었던 선생이 이념이나 주장이 아닌 시와 사진을 통해 나타내고자 한 것은 무엇일까?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를 통한 민족사랑, 민중사랑이 어떻게 표현될까?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돌양지꽃 [사진-정관호]

                                                               돌양지꽃 

                                                   물기라고는 한 방울 없는 
                                                   산정 바위 틈에 뿌리를 박고 
                                                   모질게 뻗치며 살아가는 악착이 

                                                   잠시 잠깐 스치는 안개 
                                                   어쩌다 내리치는 소나기로 미역 감으면서 
                                                   한여름 뙤약볕 아래 터뜨리는 기적 

                                                   손이 닿으면 델 것 같은 
                                                   그 뜨거운 바위 이마에서 
                                                   어찌 티끌 알갱이를 붙잡고 
                                                   저리도 황홀한 노랑을 뱉어내는가 

                                                   피고 지고는 또 피어올라 
                                                   높이 탑이라도 무어올릴 충천의 기세 
                                                   태양에로의 그 다함없는 흠모 

                                                   그를 가녀림으로 동정하면 
                                                   그를 앙징하다고 어루만지면 
                                                   죄받을 것 같은 힘의 야생녀 
                                                   후광으로 빛날 거룩함의 산꽃이여.

좀양지꽃 제주도가 원산지로 양지꽃의 4촌 뻘이다. [사진-정관호]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