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 (전 <전남 노동신문> 주필)

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6.25한국전쟁 당시 재산기관지 <전남 노동신문>의 주필이었던 선생이 이념이나 주장이 아닌 시와 사진을 통해 나타내고자 한 것은 무엇일까?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를 통한 민족사랑, 민중사랑이 어떻게 표현될까?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모감주나무. [사진-정관호]

                                     모감주나무

                            여름 장마철에
                            한 달 가까이나 꽃을 달고 있어 

                            그 가지들에 운무가 서려
                            비가 오락가락 방울져 떨어질 때
                            그것은 한낱 떨기나무만은 아니다

                            바닷바람을 좋아해서
                            자생군락지는 해안 쪽에 많아*
                            우리에게 귀중한 지표를 마련해 주고 

                            그 나무에 그토록 야단스럽게
                            꽃이 달릴 줄은 예상 못하면서
                            노란 꽃들이 수관을 말짱 덮어버리면
                            찬탄의 소리가 저절로 나온다

                            붉게 물드는 단풍도 볼 만 하지만
                            꽈리 풍선 열매는 더욱 이색
                            검고 단단한 씨로는 염주를 만들고

                            이 땅에서 자라는 나무로는 썩 괜찮은
                            그래서 자랑스럽기도 한 모감주나무.

                           * 안면도의 모감주나무 군락(群落)은 천년기념물
                              제13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 가까이서 본 모감주나무. [사진-정관호]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