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분교를 파괴하고 저항하는 지킴이를 방패와 곤봉으로 내리쳐 피 곤죽을 만든 일, 옥토에 살벌한 철조망을 치고 군사시설도 없는 곳에 군사시설보호구역을 지정한 일, 힘없는 노인의 팔을 꺾고 길바닥에 내동댕이친 일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역사에 남을 패악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다."

평택미군기지확장을 반대하며 마지막까지 마을에 남았던 주민들이 이주를 결정한 가운데, 평택범대위(상임공동대표 문정현)가 "주민 이주에도 불구하고 평택미군기지 확장 반대투쟁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싸움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범대위는 15일자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미국이 요구한 전쟁기지를 만들기 위해 정부는 마지막 순간까지 주민을 철저히 짓밟았다"며 규탄했다.

주민들이 이주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정부는 공동체 유지를 위해 이주단지가 조성된 후에 이주하겠다는 주민의 최소한의 요구조차 무시해 버렸을 뿐만 아니라, 설 연휴 전에 합의하지 않으면 강제철거에 돌입하고 약속한 것마저 보장할 수 없다는 식의 최후통첩을 날려 주민의 굴복을 강요하였다"고 비난했다.

이 단체는 노무현 정부의 사죄와 함께 "정부가 강압으로 맺은 합의나마 충실히 이행하여 또 다시 주민에게 상처를 주지 말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주민이 강제 이주에 이르게 된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정든 마을에서 내쫒기는 주민에게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올린다"며, "우리는 기지문제와 관련된 주민들의 마지막 소망인 주민공동체 유지와 신대추리 건설이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주민대책위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범대위는 최근 평택미군기지확장 사업에 대한 비용,시기문제 등이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런 상황을 반영하여 한미당국이 평택미군기지 확장을 우선 중단하고 전면 재협상에 나서도록 하는 투쟁을 다방면으로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6자 회담 진전과 대선 국면 속에서 평택미군기지 확장 반대투쟁을 중심으로 대중적인 자주평화운동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재협상을 관철해 내고 자주평화운동의 대중적 기반을 넓혀 나가는 데 앞장 설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에 앞서 '평택대책위(상임대표 이은우)'도 14일 성명을 내고 "일방적인 미군기지확장으로 인해 통한의 눈물을 흘렸던 주민들에게 우리는 따스한 공동체의 연대도 이루어내지 못했고, 고향에서 살고 싶다는 소망에 최소한의 희망도 드리지 못했다"며 고개 숙였다.

평택대책위도 "시민감시단을 조직하여 불법적인 기지성토공사를 중단시켜 낼 것"이라며 "온 국민의 힘으로 재협상을 이루어내고, 일방적인 미군기지확장의 전면 재검토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결의를 밝혔다.

특히 "평택시청은 공동체의 붕괴와 갈등을 조장만 해왔지, 어떤 노력도 주민들에게 보인 적이 없다"며 " 평택시가 이번에도 합의사항 이행 과정에서 기만적이고 회피적인 태도를 반복한다면 강력한 저항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정부는 기지공사전반에 대해 평택시민에게 투명하게 내용을 공개하고 시민의 동의를 구하는 과정을 밟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