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평택시청 신관 소회의실에서 '팽성주민대책위'와 정부측 대표가 공동브리핑을 갖고 이주합의 내용을 발표했다. [사진-통일뉴스 정명진 기자]
4년 넘게 평택미군기지확장 반대싸움을 벌여온 팽성읍 대추리 주민들이 12차례 공식대화 끝에 정부와 이주방안에 합의했다.

13일 오후 2시 50분 평택시청 신관 소회의실에서 '팽성주민대책위(위원장 김지태)'와 정부측 대화 대표단은 공동브리핑을 갖고 "남아있던 59가구 주민들은 오는 3월 31일까지 자진 이주를 한다"고 밝혔다.

정부측은 "주민이 고향을 떠나야 하는 아픔과 어려움을 겪게 된데 대해 유감표명과 구속자에 대한 사법처리 선처를 사법당국에 요청키로" 했다. 사법처리 선처 요청 대상은 국방부의 불법영농에 대한 고발취하, 기지이전 반대 과정에서 처벌받은 자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면제 등이다.

이주단지는 공동체 유지를 전제로 대추리 인근인 팽성읍 노와리나 남산리(CPX훈련장)에 조성하고 대체농지는 충남 서산 간척농지에 30만평 규모로 알선하기로 했다. 노와리 지구는 최대 대지 200평, 밭 100평의 규모로 평당 40만원(추정가)이며, 남산리 지구는 최대 대지 150평 규모로 평당 90만원이다.

정부는 팽성 노와리 지구 이주단지에 30가구 이상이 이주할 경우 운동장(2,000평), 기념관(운동장내 200평) 등을 국고로 조성해주기로 했다.

이주단지 조성 가능성은 두곳 모두 열어놨지만, 주민들이 두곳으로 갈라져 이주하기로 결정한 것은 아니며, 일단 노와리 지구 중심으로 이주단지가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팽성주민대책위 김지태 위원장은 "주민들 사이에 (이주단지와 관련해서) 큰틀에서 합의가 되어 있는데, 만약을 위해서 대비한 것"이라고 밝혔다.

▲ 기자들의 요청에 의해 악수를 나누는 정부-주민 대표들. [사진-통일뉴스 정명진 기자]
국무조정실 주한미군이전대책기획단 김춘석 부단장은 "이주단지는 (어느 쪽이든) 10가구 이상 원하면 정부가 만들어 주게 된다"고 설명했다.

노와리에 이주단지를 조성할 경우 행정구역 명칭을 '대추리'로 변경해달라는 주민의 요구에 대해서는 해당지역 거주 주민의 동의 등 행정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른 절차와 요건에 충족될 경우 승인하기로 했다.

주민들의 이주가 다음달 31일까지 완료하게 됨으로써 전세주택과 마을 공공물 보관을 위한 임시창고 시설은 국방부와 평택시가 마련해주기로 했다.

생계대책으로는 공공근로를 2014년까지 확대 시행하고 저소득층 지원 확대, 이주민 정착을 위한 직업훈련 및 위업알선을 제공한다.

이번 합의로 저소등고령자(65세 이상)은 '이주위로추가지원금' 1천만원과 2014년까지 매월 20만원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됐으며, 이는 먼저 이주한 이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간다.

양측은 이같은 합의사항의 이행을 위해 국방부, 평택시, 주민대표 등으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2008년 12월 31일까지 운영하기로 했다.

▲ 이날 언론의 인터뷰 공세를 김지태 위원장은 극구 사양했다. [사진-통일뉴스 정명진 기자]
이주단지 조성시기와 관련, 김춘석 부단장은 "1년 8개월 정도로 봤다"고 밝혔다. 국방부 주한미군이전사업단장 강수명 직무대행(소장)은 "마침 이주가 타결돼 미군기지확장을 위한 조성공사가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라며 "31일 주민들이 이주하면 가옥철거로 정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서 김지태 위원장은 "보도자료 외에 드릴 말씀이 없다"며 극구 말을 아꼈다.

마지막까지 남은 주민들이 이주를 결정하면서, 평택미군기지확장 반대운동에서 그동안 주축이 되었던 주민들은 일단 한발 물러서게 됐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