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4일 남북기업간 첫 사업협의 이후 총 627명이 경협사무소를 방문하여 사업을 협의하였다는 것이다. 남측은 114개 기업단체 366명, 북측에서는 민경련 총회사 관계자 등 261명이 참가했다.
사업 형태별로는 협력사업이 4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위탁가공 31건, 일반교역과 지원사업각 12건 순이었다. "협력사업에 협의가 가장 많이 진행된 것은 사업성격상 동일사업에 대해 수차례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또 "남북교역의 주종을 이루는 위탁가공 분야의 사업협의도 꾸준히 진행되어 섬유류 위탁가공 뿐만 아니라 전자전기.IT분야와 농산물 위탁재배.가공 분야 등으로 사업분야가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업 분야별로는 농림수산물이 32%로 가장 많았으며 전자전기제품(20%), 섬유류(15%), 광산물(10%) 순으로, 이들 4개 분야가 전체 협의의 3/4 이상을 차지했다. "농림수산업에 대한 사업협의는 단순 농수산물 반입보다 장기적 사업인 산림조성(묘목장 설치)과 농산물 계약재배분야에서 주로 진행"됐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또 "전자전기제품의 경우 위탁가공은 TV, 형광램프 생산 등 단순 가공.조립분야인데 비해, 협력사업 10건 모두는 북측의 저임금 고급인력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등 IT분야에서 진행"됐다고 했다.
사업협의와 아울러 의류위탁가공 및 프로그램 개발 분야에서의 실무기술협의(기술지도)도 3차례 개최됐다.
통일부는 "경협사무소에서의 사업협의는 종래 제3국에서의 협의에서 오는 간접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북측의 사업상대방과 직접 협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남측 기업인들의 만족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나아가 "남북기업 실무자가 직접 만나 기술적 문제에 대해 토론하는 기술협의가 가능하게 되면서 의류 위탁가공제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한편, 기술적 복잡성으로 남북경협이 쉽지 않았던 IT분야의 위탁가공교역도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했다. "종래 작업지시서(문건)만 보고 북측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품질문제 발생"했다는 것이다.
통일부는 오는 4월부터, 종래 중국 단동에서 이루어지던 남측 80개 기업이 참가하는 남북 의류위탁가공 기업의 추동복 물량에 대한 협의가 시작되면 경협사무소에서의 남북기업간 사업협의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광길 기자
tongil@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