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가 노무현 대통령의 초청으로 오는 20일부터 21일까지 이틀간 서울을 방문한다. 이로써 양국 정상간 3번째 실무형 회담이 개최되는 셈이다.

14일 오후 6시,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노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는 20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바람직한 한.일관계를 위한 역사인식 공유 및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협력방안 등에 관해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만수 대변인은, 이번 회담이 "최근 역사문제를 둘러싸고 양국 관계가 어려운 국면을 맞고 있는 상황에서 개최되는 바, 정상간 심도있는 의견 교환을 통해 올바른 한.일 관계의 방향을 논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세부 일정은 아직 협의중이다"라고 전했다. 그는 "20일 오후 정상회담을 갖고 이어 공동기자회견, 만찬을 갖는다는 정도가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일본에서 열리는 아세안+3 외무국장 회담에 참가중인 아주국장이 일본측과 협의중"이라고 전했다.
 
회담추진 배경에 대해서는 "지난해 12월 이부스키 정상회담에서 우리측이 고이즈미 총리에게 올해 상반기중 한국을 방문해 줄 것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며, "올 3월 이후 양국 간 역사인식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으나 그럴수록 회담을 통해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논의될 의제는 "역사인식의 공유문제와 과거사로 인한 피해자 지원,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북핵문제와 지역현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상회담에서 발표될 한일간 역사인식 공유 수준과 관련해서는 "양국 실무 선에서 계속 논의중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독도문제가 거론된 것인가'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독도 영유권 문제는 양국 정상간 논의될 사안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우리가 먼저 제기할 이유도 실익도 없으며 일본측이 제기하더라도 맞대응할 이유도 실익도 없다"는 것이다.
그는 "독도가 양국간 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 아니냐"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정상회담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는 "이미 한다고 밝혔으므로 그런 입장에서 꾸준히 추진해 왔다"면서도 "실무 선에서 의제 협의가 늦어지게 되어 발표 시기가 늦어지게 된 것"이라며 추진 과정에서 진통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특히 11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한일관계가 거론된데 대해, 이 당국자는 "한미정상회담과 한일정상회담 개최 발표는 관련성이 없다"고 강하게 부인했다. 지난해부터 추진해오던 독자적인 일정이라는 것이다.

한편, 이날 오후 김만수 대변인은 3부요인 및 여야 정당대표 초청 오찬결과 브리핑에서, "노 대통령이 한일정상회담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 한다면 어떤 주제로 할지 결정되지 않아 고심하고 있다고 의견을 구했"으며, 이에 "박근혜 대표는 한일관계가 악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럴 때일수록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를 개선하도록 해야 된다"고 하는 등 "(대체로) 한일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말씀들이 있었다"고 전해 이날 회담이 한일정상회담 결심을 굳히는 한 요인이 됐음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