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 가능성' 보도에 맞춰 방한한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와의 협의결과를 전하면서, 외교부 당국자는 25일 "회담재개를 위한 관련국간 노력이 결실을 볼 수 있는지 평가할 시점이 조만간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 같은 언급이 '6월 시한론'과 같은 맥락이냐는 질문에는 "힐 차관보가 한번 방문했다고 시한이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고 일축하고 '시한론'이 '제재'를 의미하는 '다른 방안'과 결부돼 보도되는 것을 경계했다.

이 당국자는 힐 차관보가 언급한 '다른 방안'과 관련해, "한미양국은 6자회담이 북핵 해결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메카니즘이라 평가하고 간주하고 있다"며 "앞으로 이러한 기대를 만족시킬 수 없다면 다른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는 상식적, 일반적 수준의 언급으로 받아들이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국자들이 만나면 많은 얘기를 한다. 개념, 계획, 행동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얘기가 있는데 앞서 폭넓은 얘기를 했다는 것은 많은 상황에 관련된 얘기를 했다는 것"이라 전하고, "지금은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한다는 원칙에서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송민순 차관보와의 면담 뒤에 '최선의 전술에 한미간 완전한 의견의 일치를 봤다'는 힐 차관보의 발언에 대해서는 "전술은 항상 논의하는 것이고 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 양국이 할 수 있는 조치들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는 뜻"이라며 "전술은 방향도 있고 내용도 있는 데 다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새로운 전술 논의여부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면서 "힐 차관보의 최선의 전술 발언은 한미간 논의 결과에 서로 만족한다는 뜻으로 이해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다른 방안과 관련해서는 "우리가 하고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것이 안되면 다른 방법을 논의할 수 있다"며 "언론에서는 다른 방법하면 제재를 생각하는 데 다른 방안은 외교적 수단도 많이 있다"면서 "시한과 연결시켜 노력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안보리 회부는 외교적 노력인가'는 질문에는 "내가 평가할 문제가 아니다"고 비켜갔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핵활동과 관련된 구체적 정보는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당국자들이 만나면 논의하는 것이나 그 내용을 말할 수는 없다"면서 "북한이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조치를 취해서는 안 된다는데 대해 확실한 의견일치를 봤다"며 '핵에 북한의 미래가 있지 않다'는 이날 오전 반기문 장관의 발언을 뒷받침했다.

특히 98년 '금창리'와 이번 월스트리트 저널의 보도를 연관짓는 데 대해서는 "연장선상에서 볼 문제는 아니고 독자적으로 평가할 문제"라 선을 긋고 "상황을 결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초가 있다고 하기는 어렵고 면밀하게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세부적인 정보상황은 얘기할 수 없다"며 "특정시점이라서가 아니라 늘 그 문제에 대해서는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해서는 "관련국간 직간접적인 다양한 접촉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하고 "관련국들의 회담재개 노력이 유익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조만간 판단을 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뉴욕채널을 통한 북미접촉에 대해서는 "구체적 경로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 당국자는 "지금은 외교적 평화적 노력을 통해 6자회담 틀 내에서 해결한다는 입장에서 임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한미정상회담에 대해서는 "한미동맹 차원에서 수시로 만나 최고 차원에서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며 "북핵 해결위한 외교적 노력과 정상회담을 결부시켜 생각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의 말을 종합하면, '6월 시한론'에 대해서는 "평가내릴 시점이 조만간 올 것"이라는 것이고, 평가 내릴 시점에서 선택할 전술에 대해서는 "한미간 많은 차원에서 논의"됐으며, '다른 방안'은 "꼭 제재라기보다는 외교적 차원의 다른 방안도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24일 저녁 방한한 힐 차관보는 24일밤과 25일 오전 송민순 외교부 차관보와의 협의, 25일 오전 반기문 장관 예방에 이어 이날 오후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차장을 면담할 예정이다. 이종석 차장은 26일부터 28일까지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