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김천식 교류협력국장은 31일 오전 10시 30분, 통일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일부 허위 계약서를 발견했지만 소수에 불가하다”며 올해 들깨반입 신청 60건 중 5건, 북어반입계약서 92건 중 10건의 허위 계약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남북이 원산지 증명절차에 합의하면서 북측의 책임 있는 기관이 원산지 증명서를 발부하면 이를 우리 정부가 확인하는 2중 절차를 거치며, 앞으로 개성에 남북경협사무소가 설치될 경우 허위 문서는 원칙적으로 유통이 불가능하게 될 것이라 단언했다.
한편, 김 국장은 남북교류협력의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차근차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최근 10여 개 회사와 공동으로 평양 공단 조성을 추진중인 한국무역협회 남북교역투자협의회에 대해서도 “잘 추진됐으면 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천식 국장은 아직 남북 간 대화가 평양에 공단을 조성할 만큼 구체적으로 진전되고 있지 않다고 전하고 “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을 그 단체가 갖고 있는 가를 점검해봐야 할 뿐만 아니라 북한 당국이 이 사업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는 가도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주 중 조류독감 방역 논의
북 조류독감 방역을 위한 남북 간 국제기구 간 논의도 금주 중에 예정되어 있다. 김천식 교류협력국장은 “남측에서 보낸 전화통지문에 대한 북측의 회신은 없었지만 금 주중에는 국제기구(유엔식량농업기구, 세계보건기구)든 남북 간이든 조류독감 확산방지를 위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 밝혔다.
현재 정부는 금강산 숙박시설이 증가함에 따라 말라리아, 이질 등 전염병 예방을 위한 금강산 현지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관광버스 점검도 전개하고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