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문제는 당장 해결할 문제가 아닌만큼 외교적인 성과를 지나치게 기대하는 것은 금물이고, 한일정상회담은 당초 합의대로 올 상반기내에 하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청와대 출입기자단과의 북악산 산행이라는 다소 '특수한' 상황속에서 나온 이날 발언은 대내외적으로 복잡한 현 정국상황과 맞물려 적잖은 의미가 함축돼있다는 대체적인 시각이다.
우선 참여정부 출범 초기부터 방향을 설정해 온 것처럼 한일관계 문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명한 원칙과 소신을 갖고 접근하겠다는 점을 재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측이 독도 영유권 문제로 도발을 해왔고, 거기에 대해 우리도 나름의 대응을 해 왔지만 한일간 동반자 파트너십이라는 기조를 우리가 먼저 깨지는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는 분석이 많다.
또한 이번 사안은 그 성격상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郞) 총리 등 몇몇 정치인들이 외교적인 수사를 동원한 몇마디 말로써 치유될 것이 아니라 일본 국민들의 철저한 과거 반성과 자각, 새로운 인식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점을 노 대통령이 거듭 강조했다는 점에 주목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노 대통령이 동북아 평화구도를 거듭 강조하면서 "국민들 마음속에 평화를 위한 조건, 국민들 태도 등이 의식속에 자리잡아야 한다"고 한 것도 따지고 보면 이런 흐름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우리 국민과 일본 국민을 향해 다중 메시지를 던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일단 일본측에는 일시적으로 상황을 무마하고 호도하고 넘어가려 해선 안되며 일본 국민들의 철저한 자성과 각성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기왕에 약속한 한일정상회담은 예정대로 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은 독도 영유권 분쟁 등 민감한 정치적 현안과 경제.문화 교류 등은 별개로 다루고, 한일관계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 나가겠다는 뜻일 수 있다.
독도문제로 양국관계가 지나치게 긴장돼 파국의 상황으로 추락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으며, 경제와 문화 교류 등은 오히려 활발하게 진행시키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다는 시각이다.
이는 역설적으로 한일정상회담 이전에 고이즈미 총리가 일본 내부의 분명한 입장 정리를 하고, 이를 토대로 가시적이고 성의있는 조치를 취해 달라는 메시지가 내포돼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실제로 노 대통령이 이날 "회담을 앞당길 수도 있지만 그럴려면 사전에 알맹이가 좀 있어야 할게 아니냐"고 반문한 것에서도 이런 의중이 묻어난다.
반대로 우리 국민에게는 "독도문제는 쉬이 해결될 문제가 아닌만큼 너무 조급하거나 성급하게 접근해선 안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테면 '호흡을 길게 가져가자'는 주문인 셈이다.
"외교적 성과보다 일본 국민들이 문제의 본질과 해결책이 뭔지 진지하게 고민하게 만들어야 한다. 빨리 해결되면 오히려 정리가 안되는 것일 수 있다"고 말한 것도 한일문제를 장기적 관점에서 신중하게 접근해 나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김재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