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은 23일 "북한이나 미국에 대해 할 말은 분명히 하면서 대화와 협력을 통한 핵문제 해결과 남북화해협력의 정책 기조를 줄기차게 밀고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오후 KBS 제1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 이 같이 말하고 "이땅에서 어떻게 해서든 전쟁을 막고 평화공존을 실현하고 공동번영을 이룩하겠다는 이런 정책기조를 흔들림 없이 지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북한은 민족공조를 말하나 핵문제에 관해서는 줄기차게 미국과 해결할 것을 고집하고 있으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는 한민족이라는 점"이라며 "우리 정부는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한반도 문제의 해결에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며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북한이 원하는 체제보장과 경제협력은 우리 도움과 협력이 절실하게 필요한 부분이다"고 강조하면서 이렇게 밝혔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언급한 '6자회담 개최 조건'과 관련, 그는 "조건은 두가지다. 협상 상대로 인정해달라는 것과 우리의 체제의 안정을 보장해 달라는 것이다"라며 "(북-미간에) 상호 접점을 찾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부시 2기 정부에 대해 그는 "강.온노선이 자주 충돌, 때로 혼선을 빚었던 1기 와 달리 일관된 흐름이 있는 것 같다"며서도 "반면에 북한이 계속 지체하고 시간을 끌면 좀 더 강경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또 "그 과정에서 한국의 주도적, 적극적 역할이 요청되며 확고한 원칙을 갖고 미국도 움직이고 북측도 설득해나가는 주체적인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19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외교.국방장관회의(2+2회담)에서 북핵의 유엔 안보리 회부 가능성이 제기됐다는 보도와 관련 "안보리 제재를 얘기할 단계가 아니며 이런 언급이 회담을 조속히 재개하려는 노력에 도움이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레드라인'에 대해 "금지선 설정시 이를 넘어서면 응징해야 하는 등 선택의 폭이 좁아지고 상대에게 칼자루를 쥐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남북 정상회담의 조건에 대해 그는 "조건은 없다"고 못박으면서도 "정상회담 실현을 위해 분위기나 환경조성이 필요하며 한반도 상공에 드리운 먹구름을 걷어내고 햇살을 비치도록 하는 게 정상회담 실현을 위한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북한의 비료 50만t 지원 요청에 대해 "50만t은 북한의 역대 지원 요청 중 최대 규모로 국내에서 사려면 2천억원(2억달러)이 소요되는 막대한 양으로 분명히 국민적 합의와 동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한 뒤 "당국간 협의 재개시 북측 사정을 들은 뒤 지원 문제에 대해 협의를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식량을 주는 것보다 농업생산을 늘리는 게 근본적인 해법이고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6년간 155만t을 지원해왔다"고 밝히고 "(2000년 6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비료 1t은 3배의 증산효과가 있다'며 남측의 비료지원에 대해 감사를 표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홍덕화 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