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가 주요 남북교역업체 2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해 13일 발표한 '2005년도 남북경협 전망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응답업체의 58.4%가 방북불허가 남북 교역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북한의 방북 불허가 남북교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업체의 15.3%가 '매우 크다', 43.1%가 '약간 크다'라고 답했으며 '전혀 영향이 없다'고 전망한 업체는 6.9%에 불과했다.
현재 북한은 개성공단 지역 방문은 허가하고 있으나 이외 지역에 대한 남한 기업인의 방북은 사실상 불허해 평양과 남포에서 임가공의류 등을 생산해 반입하는 기업들은 애로를 겪고 있다.
올해 남북 교역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48.7%가 '증가할 것', 31%가 '감소할 것', 19%가 '지난해 수준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업계의 방북계획을 보면 응답업체의 49.3%가 '있다', 39.1%가 '없다'라고 말했다.
남북경협의 애로사항으로 응답업체의 19.3%가 '클레임 해결수단 부재', 17.4%가 '통행.통신 문제', 16.4%가 '높은 물류비용', 15%가 '품질하자'를 꼽았다.
업계는 남북관계 경색국면의 해소 전망에 대해 현 상황의 '금년 중 지속'(41.3%)과 '금년 상반기 중 해결'(40.0%)에 비슷한 응답 비중을 보였으나 '금년 1.4분기 중 해결'은 4.3%에 그쳐 단기적 해소에는 비관적인 견해를 표명했다.
무협은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천-남포 정기항로의 운항횟수 증가, 높은 물류비용의 절감, 개성지역에서 남북한 당사자와 직접 상담하거나 통신을 할 수 있는 협의사무소 개설, 생산시설 방문 등을 위한 남한 기업인의 수시 방북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무협 관계자는 "물류, 통신, 통행 등 3대 문제가 개선되지 않는 한 개성공단 이외의 지역에서 이뤄지는 남북경협 활성화는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남북교역은 6억9천704만달러로 전년 대비 3.8% 감소했으며 실질 교역수지는 북한이 1억6천802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서울=연합뉴스) 현경숙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