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공식논평을 내고 "정부는 하루라도 빨리 대북특사 파견 등 남북 직접대화를 시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이를 통해 한반도 긴장이 더욱 고조될 수 있다는 국민적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민노당은 이어 "미국 정부에 대해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한 북핵문제 해결, 대북 적대정책의 공식포기 등을 촉구한다"며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당 차원의 방북도 발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노회찬(魯會燦) 의원은 북핵 보유 선언에 대해 "공식 성명은 처음이지만 이미 북한 고위 관료들이 계속해서 얘기해 온 사실일 뿐"이라며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노 의원은 이어 "우리 당론이 한반도 비핵화이므로 북한과 미국 모두 핵을 폐기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특히 미국이 북한에 체제 위협을 가하는 것을 지양해야만 6 자 회담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유종필(柳鍾珌) 대변인은 논평에서 "북한의 핵 보유 언급은 새로운 사실 이 아니다"고 밝힌 뒤 "북한이 핵문제를 협상과 타협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하면서 6 자 회담 무기한 불참을 선언한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유 대변인은 이어 "북핵문제는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하고 어떠한 경우라도 한반 도에서 무력충돌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며 "북한은 6자 회담에 조속히 복귀해야 한다 "고 촉구했다.
이낙연(李洛淵) 원내대표는 "북한이 미국을 흔들어서 진의를 알아내고 한미 공 조를 와해시키려는 의도도 있는 것 같다"면서 "참여정부의 올해 3대 국정 목표 중 하나인 남북화해협력의 진전이 이번 북핵 보유 선언으로 초반부터 큰 시련을 맞게 됐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우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