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부시 미 대통령이 2일 국정연설을 통해 대화를 통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분명히 함에 따라, 제4차 6자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위한 미국, 중국과의 협의 등 후속조치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가능한 한 이른 시일안에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열어 6자회담조기 개최를 위한 대북 설득 등 한미 공조방안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외교통상부는 설 연휴 직후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이 워싱턴D.C.를 방문,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을 만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중국측과도 외교채널을 가동해 중국 정부가 북한 당국과 접촉해 부시 대통령의 국정연설 취지를 설명하고 6자회담에 호응하도록 북한을 설득해줄것을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4일 "부시 대통령이 국정연설을 통해 북핵 문제의 외교적.평화적 해결 방침을 분명히 한 만큼 6자회담 조기 개최를 위한 관련국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지 않겠느냐"며 "이제부터 중국측이 움직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고위당국자는 "우리의 설 연휴와 중국의 춘절 연휴 등이 끼어 있고 북한도 부시 대통령의 국정연설을 분석할 시간이 필요한 만큼 2월 중에는 물리적으로 어렵다"며 "3월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크리스토퍼 힐 주한미대사의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인준과 관련, "인준이 3∼4월로 미뤄지더라도 필요하다면 내정자의 신분으로도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