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0일 공식 출범하는 조지 부시 미 대통령 2기 행정부에 대해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나타냈다.

특히 여야 의원들은 부시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 북핵문제의 평화해결 원칙 유지 등 대체로 낙관적 전망을 했으나, 일부 여당 의원들은 네오콘(신보수주의자)의 영향력 확대가 대북 강공으로 기울게 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소속 열린우리당 장영달(張永達)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기조는 그대로 갈 것이며 1기때 중시했던 '힘의 외교'는 다소 유연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 의원은 그러나 "부시 참모진중 소위 '매파'가 1기때보다 많아져 정책 변화가 있을 수 있는 만큼 부시의 안정감있는 리더십이 중요하며 특히 우리정부는 미국정부와 긴밀한 사전대화를 통해 이런 상황을 원천 차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원웅(金元雄) 의원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LA 북핵 발언' 이후 한미 정상 간에 북핵 평화해결 기조에 대한 인식을 일치시키는 등 대체로 상황이 정돈된 느낌"이라며 "이제는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협력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시간을 끌 경우 네오콘 주도의 강경책이 고개를 들면서 한반도정책을 둘러싼 한미간 갈등 소지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올해 북핵문제 해결의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부시 행정부는 한국정부의 입장을 존중하고 북한에 대해 인권문제를 '강권외교'의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강창일(姜昌一) 의원은 "1기 때에는 미국이 일방적 패권전략과 대외정책을 폈으나 이제는 세계의 리더국답게 유연한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박세일(朴世逸) 정책위의장 내정자는 "2기 행정부는 대북정책 기조 등에서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각별히 강조했다.

박 내정자는 일부 네오콘의 강경 발언에 대해서는 "말을 했다고 더 위험하고 덜 위험하다는 식으로 판단할 일이 아니다"며 "북핵 불용, 6자회담을 통한 평화적 해결, 해결시 상당 정도의 대북 보상지원이 북핵문제 해결의 기본틀"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성권(李成權) 의원은 "미국은 어떤 의미에서 경찰국가로서의 국제사회 역할에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몇사람이 바뀌었다고 해도 한반도 정책, 특히 대북 정책 기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류성무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