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의원들은 정치적인 해석을 자제하는 모습이었지만, 일부 의원들은 당시 한국 정부가 저격사건 이후 일본 정부에 사과를 요구하면서 '단교(斷交)'까지 언급한데 대해 "유신정권을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평가하는 등 적극적인 해석을 내리기도 했다.
국회 통외통위 여당 간사를 맡고 있는 유선호(柳宣浩) 의원은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 국민의 알권리가 침해됐다"며 "올바른 과거사 정립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과거 자료들이 공개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재건(柳在乾) 의원은 "이번에 공개한 문서에 대한 의미 해석은 학자들에게 맡기면 된다"며 "정쟁의 수단으로 삼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이번에 공개한 외교문서에서 한.일 양국간 긴장상황이 고조되자 미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한 것으로 나타난 것과 관련, "당시 미국이 한국에 엄청난 원조를 하고 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지금은 상전벽해"라고 말했다.
장영달(張永達)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을 저격한 문세광과 북한과의 직접적인 연계 여부에 대해 한.일 정부가 이견을 보인 것과 관련, "문세광의 실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할 말이 없다"면서도 "당시 정부로서는 북한 세력이 준동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 유신정권 강화에 유익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의원들은 이번에 공개된 외교문서가 박근혜(朴槿惠) 대표의 모친인 고 육영수 여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안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해석을 경계하는 반응을 보이는데 대해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강창일(姜昌一) 의원은 "박 대표가 부친의 유산으로 정치를 하는 것이 아니라면 과거에 연연하면 안된다"며 "한나라당이 역사의 진실을 밝히는 것을 주저한다면 '박정희당'이라는 소리를 듣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