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여부지 중 캠프 험프리 지역은 마을 지역으로부터 약 50m∼100m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영외 훈련장을 영내로 이전한다. 오산공군비행장의 경우 소음 피해지역을 매입한 뒤 영농활동 제한지역을 추가로 매수할 계획이다.
|
현재 미군기지이전 지역인 평택 주민들이 부지매수에 크게 반발하며 단 한 평의 땅도 내놓지 않겠다는 강경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국방부는 매수가 안되더라도 강제수용 등 무리수를 두지는 않을 방침이다.
기지이전추진단장 강수명 육군 준장은 "현지에 반대 목소리가 있어 부지 매수가 어렵지만 금년도 분을 협의 매수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고 단언하고 그 이유로 "지역에 사시는 노인 분들 대부분이 6.25전쟁을 경험한 분들이라 국가안보에 대한 투철한 생각을 갖고 있어 미군이 우리에게 필요한 존재라는 사실을 충분히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부지 매수에 따라 연말까지 타 지역으로 이전해야 할 가구는 약 500여 세대며 국방부는 이들 가구와 이전지역 토지소유자들에게 지난해 12월 8일 국회에서 의결 된 주민지원특별법에 따라 오는 3월 중 보상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미군기지 재편에 따른 모든 미군기지 이전에 소요되는 비용은 총 5조 5천억원으로 추산되며 세입. 세출 재원을 따져본 결과 용산기지 이전에 4조원이 소요되고 연합토지관리계획에 9천억원, 미 2사단 이전 비용에 6천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라고 국방부는 밝혔다.
그러나 한미 양국이 협의중인 마스터 플랜이 최종 확정 될 경우 소요예산 추산액은 변동될 수 있다. 현재 한미 양국은 미국 측이 마스터 플랜을 집행하돼 한.미 회사가 공동으로 참여하기로 의견을 모은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