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남북관계의 실질적인 발전이 이뤄지도록 외교 노력과 함께 남북간 대화의 복원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연두 기자회견에서 밝힌 경제 활성화 대책이 조기에 가시화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조속히 실시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중앙청사에서 이해찬(李海瓚) 총리 주재로 '부총리.책임장관회의'를 열어 경제.외교안보.교육.과학기술.사회문화 등 분야별 새해 국정운영 방향을 논의한 결과 이 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국무조정실이 밝혔다.

정부는 사회.문야 분야에서 지역균형발전, 사회안전망 강화를 통해 지역간, 계층간 통합과 동반성장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편 정부는 회의에서 내달 임시국회 입법대책도 논의했다.

정부는 지난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한 행정도시건설특별조치법, 국가재정법, 한국투자공사법, 국민연금법 등 56개 법률안의 2월 임시국회 통과를 위해 소관 부처별로 당정협의를 강화하는 등 대비해 나가기로 했다.

올들어 처음 열리는 이날 '부총리.책임장관회의'에서 이 총리는 "이 회의를 매월초 정례적으로 개최해 분권형 국정운영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책임장관은 분야별 책임장관회의 운영을 더욱 활성화 해달라"고 당부했다고 국조실이 전했다.

회의에는 이헌재(李憲宰) 경제부총리, 정동영(鄭東泳) 통일, 김근태(金槿泰) 복지, 오영교(吳盈敎) 행자, 김승규(金昇圭) 법무장관과 정순균(鄭順均) 국정홍보처장이 참석했다.

오 명(吳 明) 과학기술부총리는 지방 일정 때문에 불참했으며, 공석중인 교육부총리와 해외출장중인 김병일(金炳日) 기획예산처장관을 대신해 각각 김영식(金永植) 교육차관과 변양균(卞良均) 예산처 차관이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화영 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