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열린우리당.한나라당 의원 및 당직자들과 민주노동당 의원간에는 고성과 설전이 오가기도 했다.
오전 10시 40분경, 기자회견장에 들른 심상정 민주노동당 원내수석부대표는 “4자회담은 무효이며 과두정치의 부활”이라고 재차 확인하고 “중단하고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상정 부대표는 “이부영 의장이 우리더러 거리정치는 그만둬야 한다고 하더라”고 전하면서, “지금처럼 초법적 과두정치를 계속한다면 거리정치 외에 다른 수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4자회담이든 원탁회담이든 충분히 논의할 수는 있으나, 문제는 상임위의 심사권을 무력화하고 국회 위에 초법적으로 군림하며 국회의원 299명을 우롱하는 것”이라며, “특히 다루는 의제가 국가보안법이고 민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뉴딜3법’이라는 점은 더욱 큰 문제”라며, “이런 발상 자체가 21세기 개혁국회를 지향하는 흐름과 동떨어진 행위”라고 맹렬히 성토했다.
특히 “열린우리당의 태도가 문제”라며, “도대체 과반수 의석을 가진 당인지 의심스럽다, 어느 당이 집권당인가”고 되묻고, “개혁의 길로 간다면 민주노동당이 충분히 힘을 실어줄 수 있음을 누차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을 포기하고 한나라당과 합의하려는 행태”에 대해 개탄했다.
심상정 부대표는 “4자회담은 개혁의 포기이자 국민에 대한 우롱이며 민주노동당과 299명 의원들에 대한 무시이므로 모든 힘을 다해 막아낼 것”이라며, 오늘은 무효와 중단해체만 선언했지만 앞으로 더 수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모든 힘을 다한다’는 의미가 뭔가는 질문에 심 부대표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황에 따라, 4자회담 결과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며 “초법적이라 지적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걸맞는 내용이 나오지 않으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라며, “상임위별 대응, 4자회담 자체에 대한 규탄 등 다양한 대응조치를 하겠다”고 설명했다.
박근혜 대표의 ‘민주노동당의 뜻을 고려하겠다’는 말에 대해서는 “무슨 뜻을 고려한다는 건가”고 되묻고, “국회 법대로 하면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우원식 의원은 ‘4자회담 무용론’에 대해 “문제가 있지만 어쨌든 존중하고 이행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게 기본입장”이라 전했다.
이에 대해 유시민 의원은 “어제 교육위뿐 아니라 오늘 행자위에서도 같은 행태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한나라당 의원들이 국회를 계속 파행으로 몰아넣는 행위를 하면 우리가 뭐라 하기 전에 이미 합의서를 종이쪽지로 만드는 것”이라며, “오늘 내일 상황 지켜보고 (4자회담에 대한)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을 빠져나가던 임종인 의원이 “4자회담 하는 것은 자유지만 우리는 인정 안하는 것 아닌가”고 묻자, 우원식 의원은 “인정은 하지”라 답했고, 다시 임 의원은 “집회결사의 자유 측면에서 인정하는 거지 뭐”라고 답해 폭소가 터지기도 했다.
국회본청 146호에서 농성중인 열린우리당 '240시간연속의원총회' 소속 의원들은 매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갖고 상황변화에 따른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광길 기자
tongil@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