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의 국정조사 실시 주장에 대해 권위주의 정권의 고문피해 전반에 대한 국정조사를 실시하자고 맞불을 놓은데 이어,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의 '과거사'에 대한 조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여당은 또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함세웅 신부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회원, 이철우 의원의 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권위주의 정권시절 민주화운동을 연상시키는 '촛불기도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 같은 여당의 움직임은 이철우 의원 논란에 대해 여론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자신감이 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은 지난 11일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278명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여론을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2.73%), 이 의원이 간첩이라는 한나라당의 주장에 대해 응답자의 47%가 '구태의연한 색깔공세'라는 답변을 했고, 34%가 한나라당 의원들이 주장이 올바른 지적이라는 답변을 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지도부에 제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나라당의 불참으로 예결특위가 공전하는데 대해 62%가 '직무유기'라고 비판했고, 24%가 한나라당의 명분에 공감한다고 답변했다.
'한나라당 간첩조작사건 비대위'의 회의에서도 강경 발언이 줄을 이었다.
배기선(裵基善) 위원장은 "이철우 의원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차원을 넘어 유신과 권위주의 시대의 반인륜적 행위의 행태에 대해 밝힐 것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한뒤, 한나라당의 토론 주장에 대해선 "성폭행한 사람과 성폭행 당한 사람을 앉혀놓고 성폭력에 대해 토론하자는 것과 마찬가지의 태도"라고 비판했다.
유기홍(柳基洪) 의원은 "한나라당이 정말 국정조사를 원한다면 이철우 의원이 고문당한 사실을 포함해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 의원이 서경원 의원을 고문한 사건을 포함해 당시 안기부의 고문사건을 다 밝혀보자는게 우리 생각"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또 중부지역당 사건 수사 당시 이 의원을 포섭한 것으로 알려진 양모씨가 '김사장'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성기고문을 당했다는 주장을 담은 민가협 자료를 공개하면서 "정형근 의원은 당시 수사차장보로 실질적인 이 사건의 책임자였고, 당시에 정형근이라는 이름을 거명하기에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며 우회적으로 정 의원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문병호(文炳浩) 의원은 "조선노동당 입당식이나 김일성 부자 초상화 앞에서의 충성서약은 원래 없었던 일로 검찰 공소장을 그대로 베끼는 것이 당시 공안사건 판결문의 관례였다"며 사건 조작을 재차 주장했다.
이와 함께 열린우리당은 고문조작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추진과 동시에 70년대 중앙정보국 대공수사과에서 근무했던 한나라당 김기춘(金淇春) 의원과 안기부 1차장 출신인 정 의원에 대한 자료수집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