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8일 열린우리당 이철우(李哲禹) 의원에 대한 '북한 노동당 가입' 주장이 제기된 것은 "국가정체성과 직결된 문제"라고 규정하고 대국민사과와 이 의원 공천과정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며 여당을 강하게 압박했다.

특히 여당이 추진중인 국가보안법 폐지 문제와 이번 사건을 연결지으면서 여당의 임시국회 개최를 통한 국보법 처리 시도를 차단하기 위한 재료로 삼으려는 모습이었다.

한나라당은 당내에 진상조사 및 대책위를 구성, 당 차원의 진상조사에 착수하고 이철우 의원과 열린우리당의 해명을 요구하는 등 신속한 대응태세를 취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긴급 의원총회에서 "(이 의원 건은) 국가정체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면서 "열린우리당은 이 의원이 공천을 받은 배경을 낱낱이 밝히고, 이 의원을 어떻게 처리할지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열린우리당이 왜 민생현안을 제쳐놓고 국보법 폐지에 '올인'하는 지를 알 것 같다"면서 "보안법 폐지를 밀어붙이는 진짜 이유가 뭔지도 밝혀야 한다"며 여당의 국보법 폐지 움직임과 연계해 공세를 취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이 "색깔론과는 다른 차원"이라며 여당의 반격에 따른 '역풍'을 경계하기도 했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의총 브리핑을 통해 "이철우 의원의 노동당 가입문제와 관련해 다양한 당내 의견이 있었다"고 전제한뒤 "이 문제는 간첩사건"이라면서 "다른 사건과 혼동할 필요 없이 진상을 명확히 가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검사출신인 홍준표(洪準杓) 의원도 "이것은 색깔론과는 다른 차원"이라면서 "중부지역당사건이나 간첩사건 등에 연루된 사람들이 국회에 들어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은연중 열린우리당내 386 세대 들의 '정치적 성향'을 문제삼으로써 정체성 문제를 제기함과 동시에 이를 국보법 사수의 명분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 의원을 겨냥해 제일 처음 문제를 제기한 주성영(朱盛英) 의원은 "이철우 의원이 88년과 92년 두차례에 걸쳐 국보법 위반으로 재판을 받았는데 첫번째는 형 1년에 집행유예 3년, 두번째는 실형 4년을 받았다"면서 "이 의원이 88년 사건에 대해서만 변명하는데 두번째 중부지역 사건이 간첩 관련인 것 같다"고 공세를 폈다.

지난 92년 '이선실 간첩사건' 수사를 총지휘했던 정형근(鄭亨根) 의원은 국회 에서 이철우 의원 사건이 폭로된뒤 본회의장에서 김기춘(金淇春) 김무성(金武星) 심재철(沈在哲) 의원 등과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고 현장에 있었던 한 의원은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