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6일 프랑스를 방문중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동포간담회에서 "미국 등 일부 국가의 체제전복론으로 북한이 위기감을 느끼는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을 놓고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열린우리당은 노 대통령의 발언이 북한정권 붕괴론을 공공연하게 제기하고 있는 일부 네오콘(신보수주의자)에게 자극을 주려는 메시지로 '적절하다'는 평가를 내린 반면, 한나라당은 북한에 대한 상황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온 성급한 발언이라는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국회 통외통위 소속 열린우리당 최성(崔星)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미국내 일부 네오콘들이 북한 정권을 붕괴시키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얘기를 공공연하게 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시 집권 2기의 대북정책이 이처럼 설정되어선 안된다는 측면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또 "부시 행정부와 일부 네오콘의 대북정책은 분리해 생각해야 한다는게 노 대통령의 입장"이라면서 "남한이 이런 의사를 보이고 있는 만큼 북한은 핵개발 유혹을 버리고 6자 회담에 나오라는 주문도 함께 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같은 당 이화영(李華泳) 의원은 "네오콘을 겨냥한 발언일 뿐만 아니라 남북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위해서 북측에 보내는 메시지이기도 하다"면서 "북의 체제보장을 통해 북한의 핵무기 포기를 유도해내기 위한 발언"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외교란 일방적이거나 단순한 문제가 아닌 만큼 성급한 발언이었다는 입장을 보였다.

임태희(任太熙)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정일 체제 유지를 통해 북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한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북한에 대해 제대로 상황 파악도 되지 않은데다 주변국과의 의견 조율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북한 문제에 대해 섣불리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임 대변인은 이어 "자신의 발언이 현실적인지, 그리고 주변국으로부터 협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인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회 통외통위 소속인 정문헌(鄭文憲) 의원은 "중국이 북한체제의 전복에 반대하고 있다는 식의 단정적인 국제정세 인식은 문제가 있다"며 "이같은 발언은 우리 스스로의 입지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발언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정윤섭 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