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 당국자는 21일 "미국 대선 이후 한미간에 정상회담은 물론 외교장관회담도 열린 만큼 그에 따른 후속조치들이 나올 것"이라며 "조만간 이들 국가와 실무접촉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회담 참가국과 이뤄질 실무접촉의 시기 등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구상 단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접촉 시기와 장소가 정해지면 한미간에는 (지난 3차6자회담에서 각각 마련한 안에 대한) 절충안을 만들 생각"이라며 "(하지만) 북핵 동결범위와 검증, 기간 등은 워킹그룹 회의에서 검토하도록 위임했기 때문에 그 차원에서 검토안은 마련해 놓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올해 9월말 이전 6자회담 개최에 대비해 만들어진 이 검토안은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 4개국과 협의를 거쳤으며 향후 워킹그룹 회의가 열리면 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자는 "우리가 창의적인 안을 만들었다는 것 정도는 북한에 전달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또 다른 당국자는 "곧 있을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는 심도있는 협의가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정권이 바뀌지 않은 상황에서 미 행정부 정책의 연속성이 있는 만큼 각 국의 일정을 조율해 조만간 협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