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1일 한미 정상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6자회담 틀내에서의 접근 원칙에 인식을 같이한 데 대해 긍정 평가하면서, 이런 기조가 일과성이 아닌 지속적인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뤄진 양국간 공조원칙에 만족할게 아니라 앞으로 핵문제를 비롯해 북한문제 전반을 다뤄나가는데 있어 '변함없는' 공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인 셈이다.

한나라당은 그러면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한국의 '주도적, 적극적 역할'을 언급한 것과 관련, 그것이 어떤 형태로 윤곽을 드러내게 될지에 대해선 촉각을 곤두세웠다.

임태희(任太熙)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핵을 둘러싼 불편한 시각차를 해소하고 양국이 일치된 인식을 확인한 점은 다행스럽다"면서 "북핵 해결을 위해서는 6자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한국의 역할이 중요해지는데 그동안 있었던 한미간 인식차를 다시 드러내는 것은 안된다"고 한미공조를 강조했다.

그는 "회담할 때는 합의를 이룬 것같다가 국내에 들어와서 딴 얘기를 해서 양국간 불신이 커졌던 좋지 않은 선례들이 이번에는 없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소속인 원희룡(元喜龍) 최고위원도 "이번 회담은 북핵을 둘러싼 양국간 갈등을 외교적 수사로 묻어두고 시간을 벌면서 해결하려는 게 아니냐는 느낌도 받았다"면서 "앞으로 북한이 계속 6자회담의 틀에 응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가 더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도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노 대통령은 앞으로 미국하고 어떤 식으로, 어떤 자세로 북핵문제를 해결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논평에서 노 대통령이 밝힌 '한국의 주도적 역할'과 관련, "만일 비공개 내용 혹은 사전협의를 통해 노 대통령의 LA '북핵 발언'의 연장선에서 대북특사를 비롯, 남북정상회담 성사 추진 등을 미국측에 전달했다면 이제 한국정부가 커다란 책임을 떠안게 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김문수(金文洙) 의원은 "양국 정상간 정확한 인식의 공유와 동맹으로서의 확고한 공조에까지 이르지는 못한 것 같다"면서 "양국 정상간에 북핵 해법을 둘러싸고 큰 충돌이나 이견이 표출되지 않은 것만해도 그나마 다행이라고 본다"고 평했다.

황진하(黃震夏) 제2정조위원장은 "이번 정상회담이 우리측 대표단의 말대로 특별히 성공했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한미 정상이 상호 대화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인식하게 된 것은 의의가 있다"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