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법안도 정략배제하면 협상가능"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18일 정동영(鄭東泳) 통일장관과 윤광웅(尹光雄) 국방장관의 '주적개념 삭제' 발언과 관련, "사견으로는 북한의 비위를 맞춰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10년전 국방백서에 주적개념을 넣은 것은 북핵사태 때문이었으며 지금 북핵문제가 최고로 악화됐는데 주적개념을 삭제하려는 것은 터무니 없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이 정권이 체제수호의 최소한 안전장치인 보안법 폐지를 밀어붙이더니 주적 개념도 없애려 혈안이 되고 있다"면서 "이들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의중과 다르게 행동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한나라당은 국회 통외통위, 국방위 등에서 이 점을 철저히 추궁하고 노 대통령의 해명을 강력히 촉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원내대표는 열린우리당이 추진하고 있는 '4대입법'과 관련, "보안법 폐지라는 당론을 철회하고 우리와 함께 개정을 논의한다면 응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나머지 3개 법안도 내용에서 정략성, 위헌성 내포하고 있는데 이런 것을 배제한 가운데 협상한다면 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집권세력이 매달리고 있는 4개 법안은 정략적이고 민생의 '민'자로 들어있지 않는 문제있는 법안"이라면서 "우리당의 입장은 확고하고 간명하다. 정기국회에서 민생법안과 예산안을 우선처리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김 원내대표는 "여야 합의로 이 법안을 처리하자는 것이 기본방침"이라면서 "일각에선 여야간 입장차이가 커 타협이 되겠는가 걱정을 하고 있지만 국민여론이 결정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