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은 미국은 북한 핵프로그램에 대해 검증 가능한 방법으로 완전한 폐기가 이뤄져야 한다는 종전 입장에 변화가 없으며 북한과 직접 협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26일 서울을 방문하는 파월 장관은 21일 국무부 웹사이트에 게시된 '파이스턴 이코노믹 리뷰'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서울 방문시 4차 6자회담 개최 문제및 주한 미군 감축 문제를 집중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한국과는 주한 미군 감축과 6자회담 문제가 있다"면서 "최근 중국과 북한의 고위 지도자들이 대화를 가졌고 따라서 11월에 앞서 6자회담이 현재 어디에 와 있는지 점검하고, 차기 6자 회담에 순조롭게 들어가기 위해 어떤 계획을 짜야하는지 논의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또 "미국의 정보 전문가들은 북한이 어느 정도까지 핵무기 프로그램을 추진했는지 알지 못하고 있으며, 수년전 북한이 1~2개 정도의 핵무기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했던 수준에서 머물러 있다"고 말했다.

그의 이같은 언급은 부시 대통령 행정부가 북핵 해결에 미온적으로 대응, 과거 1~2개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됐던 북한 핵무기가 현재 6~8개로 늘어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일부의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파월 장관은 또 미국 정부는 북한이 지난해 초 유엔의 사찰을 거부한 뒤 핵 연료봉을 어떻게 처리했는지에 대해서도 알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부시 행정부 출범 첫해 북한이 농축 우라늄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하는 등 제네바 합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6자회담의 틀을 마련했음을 지적하면서 "미국은 다른 나라들도 (북핵 문제에 대해) 미국과 같은 형평성과 책임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북한과 직접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종료했다는 확신이 있을 때만이 북한과 핵비무장에 따른 원조 계획을 시작할 것이며, 핵무기 종식을 위해 이러한 계획을 북한측의 입맛에 맞추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파월 장관은 이날 미국을 방문중인 윤광웅 국방장관과 만나 주한미군 재조정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워싱턴=연합뉴스) 박노황 특파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