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20일 이슬람 웹사이트에서 '이라크에서 7일 이내 철군하지 않으면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겠다'는 성명이 발견된 데 대해 한 목소리로 우려를 표시하며 테러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국에 촉구했다.

열린우리당 김현미(金賢美) 대변인은 논평에서 "이라크 평화재건을 위한 파병에 대해 테러 위협을 가한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할 수 없는 범죄행위"라며 "정부는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테러대비에 만전을 기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상민(李相珉) 의원은 "테러위협이 실재적 측면도 있지만 우리내부의 분열을 일으키려는 심리전으로도 볼 수 있다"며 "위협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자세로 사회 구성원 모두가 긴장감을 갖고 용기있게 대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소속인 최 성(崔 星) 의원은 "위협의 진위를 떠나 테러 위험이 초읽기에 들어간 느낌"이라며 "곧 라마단 기간이란 점을 감안할 때 테러단체가 협박과 루머를 통해 심리전에 들어간 것 같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밀반입된 우라늄 캡슐이 버젓이 거래가 됐는데도 정부는 이를 몰랐고, 위해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등 대테러 시스템이 엉망이라는 게 드러났다"며 실효성 있는 근본적인 테러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특히 모든 테러 가능성에 대비, 국정감사 이후 테러 예방에서 진압까지 종합적인 대책을 담게되는 테러방지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노동당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라크 파병이 재검토돼야 한다면서 이르면 이달말 국회에 제출될 파병연장 동의안을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회찬(魯會燦) 의원은 "테러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파병방침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며 "김선일씨 사건 때처럼 정부가 '죽일테면 죽여라'는 식의 반응을 보인다면 또다시 비극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