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개혁법안'을 당론으로 확정한 열린우리당이 당 안팎의 역풍에 고심하고 있다.

일단 제1야당인 한나라당이 4대 법안을 '국론분열법'이라고 규정하고 법안통과 저지 방침을 천명한 가운데 보수층도 강한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반면 일부 지지층은 우리당의 개혁법안이 당초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며 반발하는 등 우리당은 전혀 다른 두 갈래의 역풍에 휩싸인 상황이다.

이 같은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 17대 국회 초반 언론개혁 움직임을 주도한 김재홍(金載洪) 의원은 언론개혁법의 내용에 반발해 단식에 돌입하는 등 '내우외환'의 조짐까지 관측되고 있다.

일단 우리당 지도부는 4대 법안에 대한 여론의 지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상황 속에서 무리하게 법안 처리를 시도하는 것보다 일단 한나라당을 협상 테이블로 불러 들이겠다는 전략이다.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는 18일 상임중앙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이 대안을 내면 합리적인 태도와 유연성을 발휘해 충분히 대화하고 타협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경(李美卿) 상임중앙위원도 "우리당이 시간을 정해놓고 4대 입법을 밀어붙이려는 게 아니다"라며 "한나라당이 대안을 내놓고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시간도 연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우리당은 민주노동당 및 민노당과 4대 법안을 공동발의해 한나라당을 압박하는 전략도 병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리당은 민노당 및 민노당과의 협상을 계속하되, 핵심 쟁점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3당 대표회담을 제안해 일괄타결을 시도하는 방안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당은 또 '친여(親與)' 성향의 사회단체 등 지지층의 반발을 달래기 위한 방안 모색에도 골몰하고 있다.

우리당 핵심관계자는 "확정된 4대 법안에 대해 지지층은 만족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한꺼번에 모든 것을 얻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부영(李富榮) 의장 등 당 지도부가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만나 이 같은 사정을 설명하며 이해를 구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당은 김재홍 의원의 단식 등 당내 반발도 조기에 진화키로 했다. 우리당 소속 문광위원들은 17일 김 의원을 방문해 단식 중단을 요청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