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통일부는 지난 달 중순 가진 전자공청회에서 대체용어 후보로 높은 득표를 했던 ▲자유민(29.4%) ▲이주민(16.0%) ▲새터민(14.1%) ▲이향민(9.7%) ▲하나민(7.7%) 등 5개로 압축해 놓은 상태다.
탈북자에 대한 호칭은 70년대 '귀순용사', '귀순동포' 등으로 불려왔으나 냉전적 이미지가 강하고 불쌍한 소외계층을 지칭하는 뉘앙스 때문에 다소 객관적 의미를지닌 '탈북자', '북한이탈주민'으로 바꾸었다.
하지만 바뀐 용어 역시 일반 국민과의 차별성이 강조돼 보다 친근한 용어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가 팔을 걷고 나선 것이다.
정부는 '탈북자'의 대체용어가 정치적.사회적 편견을 배제하고 이들의 객관적 성격을 잘 나타내야 할 뿐 아니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기준을 세웠다.
이에 따라 전자공청회에서 최고 득표를 한 '자유민'이라는 용어는 정치적 이미지가 강할 뿐아니라 탈북자가 '자유민'이면 다른 우리 국민은 '비자유민'이냐는 반론도 가능해 고민스럽다.
통일부는 일단 5개의 후보를 놓고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투표와 탈북자 정착지원시설인 하나원의 교육생 및 탈북자 단체, 북한이탈주민후원회 관계자들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국립국어연구원의 국어학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호칭을 확정하고 다음달말께 북한이탈주민대책협의회를 열어 대체용어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이어 12월중에 국무총리에게 보고되는 '북한이탈주민 종합대책'에 대체용어를 포함하고 내년부터 정부내 공식용어로 사용할 계획이며 앞으로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을 개정할 때 법률 용어도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7일 "탈북자들을 우리와 다른 집단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우리 속의 하나로 생각해야 할 때가 왔다"며 "보다 친근한 용어를 마련해 우리 사회의 인식을 바꿔보자는 취지에서 비롯됐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