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특사 만능주의, 정상회담 만능주의는 대북정책의 기조를 왜곡할 우려가 크다"며 "더구나 지금은 북핵 6자회담이 무산되고 미국 대선이 진행중이므로 시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북핵문제는 무엇보다도 한.미.일 관계의 공조를 긴밀히 한 가운데 원칙을 갖고 대응해야지 '깜짝쇼'로 해결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은 "대북특사 문제는 북한을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상당한 사전 정비가 이뤄진 뒤에라야 의미가 있다"며 "김정일의 방한을 추진하는 '쇼'하는 방식으로 할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임태희(任太熙)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남북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에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으나 '특사'는 별개 문제로 여러가지를 고려해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남북문제는 정상회담이든 특사파견이든 다른 어떤 시도도 반드시 국민적 인 공감대가 필요하고 가급적 투명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정선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