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전(金祐銓) 광복회 회장이 지난 22일 청와대 비서실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특강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민족통합 정책이 새롭게 조명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청와대 비서실 직원들의 학습모인인 상춘포럼에서 '임시정부의 통합정책과 남북협상' 강연을 통해 "1948년 평양에서 개최된 남북 정당 사회단체 지도자 협의회를 사실상 제1차 남북협상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청와대 브리핑'이 23일 전했다.

김 회장은 '당시 회담은 실패했다'는 일각의 평가에 대해 "임시정부의 지속적인 민족통합 정책의 전통에서 남북협상이 성립된 것이고, 즉각 통일정부가 수립되지 않았다고 해서 실패라고 단정하면 안된다"고 반박했다.

김 회장은 이어 "임시정부 주석 이하 전 각료 대부분이 앞장서서 모든 국내 정당, 사회단체 대표들과 함께 48년 4월30일 남북 공동성명서를 성립시켜 조국의 평화적 통일의 초석을 다져 놓았다"면서 "그후 72년 7.4 공동성명서, 91년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와 함께 45년 9월 공포한 임시정부 당면정책 14개항 가운데 6, 7, 8항에 기술된 통일정부 수립방안과 '독립운동 방해자와 매국족에 대하여 막중히 처분한다'고 명시한 14항의 현재적 의미에 대해 강조했다고 '청와대 브리핑'은 소개했다.  /연합뉴스 김범현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