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안수훈 기자 = 고영구(高泳耉) 국정원장은 7일 국가보안법 개폐논란과 관련, "처벌해야할 범죄유형을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는 사안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 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정보위에 출석, 국보법 개폐논란에 대한 국정원의 입장을 묻는 여야 의원들의 질의에 대해 "국가보안법 개정이든, 대체입법이든, 형법의 보완이든 관계없이 처벌돼야할 범죄유형은 검토돼야 하며, 국제사회의 국보법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열린우리당 간사인 임종인(林鍾仁) 의원이 발표했다.
고 원장은 이어 국정원의 수사권 폐지용의를 묻는 임 의원 질문에 "북한 및 해외의 국제범죄 등에 관한 정보수집 역량이 있는 국정원이 수사권을 갖고 있는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 구성과 관련, 고 원장은 "조사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학계.종교계.법조계.시민단체가 추천하는 인사들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중"이라며 "인권.시민단체 등으로 부터 복수의 후보를 추천받아 가장 적합한 인물을 선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 원장은 또 '김정일(金正日) 후계관련 권력투쟁설'에 대해 "북한 내부에서는 별다른 이상 징후가 없는 것으로 판단중"이라며 "김정일은 올해 모두 66차례 공개활동했는데 이중 43차례가 군 관련 활동이며, 7월이후 지난 6일까지는 모두 18차례의 공개활동을 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같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북한 당국이 북한주재 외국인과 북한 주민간 전화사용을 통제했다는 보도에 대해 고 원장은 "평양시 전화국 통신장비 고장 등의 기술적인 문제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 원장은 "지난해 국정원은 첨단기술의 해외유출을 적발해 모두 13조9천억원의 국부유출을 예방하는 성과를 거뒀다"면서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우리 군의 이라크 추가파병과 관련해 김선일 사건에 유의하면서 이라크 현지에서의 정보협력 강화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