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특파원 = 미국이 개성공단 사업을 비롯해 남북경협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뿐 아니라 북핵문제 해결에도 기여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협력의사를 표시했다"고 정동영(鄭東泳) 통일장관이 31일 전해 '이해와 협력의사'의 강도가 주목된다.

남북경제협력의 핵심 상징이 될 개성공단 시범사업의 본격화를 앞둔 시점이라는 점에서, 한미간 이번 협의 결과는 남북한과 미국 3자관계에서 이 사업의 속도와 폭을 규율할 것으로 보이기때문이다.

정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개성공단 사업이 남북교류 협력의 상징적인 사업이며, 한반도 평화.안정에 기여한다는 인식을 한미 양국이 공유한다는 게 중요하다"고 개성공단 사업에 대한 한미간 인식공유를 역설했다.

이와 관련, 지난 6월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하원 청문회에서 "(남북경협이) 투명하게 이뤄지고 (북한) 정부와 그 활동에 대한 보조금이 아닌 한 문제가 없다"는 말로 남북경협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음을 둘러 표현했었다.

또 일부 민간 전문가들은 남북경협, 특히 개성공단 사업이 미국의 북핵 해결 노력을 방해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정 장관은 그러나 "여러 현안에 대해 깊이있는 토론이 있었고, 그 결과가 이해와 협력의 표시"라며 협의 결과에 "만족"을 나타냈다.

정 장관은 특히 북핵과 경협간 연계여부에 대한 질문에 "미국이 그렇게 명시적으로 연계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하고 "북핵 해결과 남북교류.협력의 '조화로운' 추진이라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정책이 결실을 맺는 단계"라고 덧붙임으로써 시범사업에 대해 미국이 본질적인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정 장관은 또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부시 대통령이 남북경협이 한반도 평화.안정에 기여하고 있음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고 재확인하면서 개성공단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를 표시했으며, 콜린 파월 장관은 남북경협이 핵문제 해결에도 도움되고, 개성공단도 그 관점에서 추진된다는 것을 이해했다"고 전했다. 이는 한국 정부의 대미 설득 줄거리를 시사하는 것이다.

정 장관은 '북핵문제에 진전이 없어도 남북경협은 계속 속도를 낸다는 말이냐는 질문에는 "15개업체가 참여하는 시범사업을 갖고 속도를 내는 것이라고 볼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는 북핵해결과 남북경협의 '조화로운' 추진 원칙과 함께 한국정부가 미국측을 설득하는 데 동원한 논리를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정 장관이 이번에 개성공단을 비롯해 남북경협에 대한 한미간 입장을 조율한 결과는 앞으로 최소한 내년초까지는 이 문제에 관한 양국 정부의 행동규범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