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한명숙(韓明淑) 의원은 "서독의 탈 동독주민 통합정책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며 "전문가를 중심으로 동서독 사례에 대해 충분히 검토해 그 성과를 탈북자 지원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전여옥(田麗玉) 의원도 "탈북자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이제는 정부 차원 이외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 "민간구호단체가 탈북자 교육을 책임지는 방안 등이 필요한데 통일부는 어떤 방안을 갖고 있는가"고 추궁했다.
같은 당 김문수(金文洙) 의원은 "최근 통일장관과 외교장관이 탈북자 지원단체에 '탈북 조장', '기획 탈북'이라는 용어로 폄하했다"며 "이들 단체를 모독한 것에 대해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인도주의 차원에서 어려운 처지에 있는 탈북자를 보호하는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을 평가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있다"며 "다만 탈북자 지원단체의 활동이 혹시라도 무리한 탈북 조장이나 유도로 이어질수 있다면 남북한 화해협력 기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문제와 관련, 열린우리당 최 성(崔 星) 의원은 "남북 공동대응 방안으로 고구려사에 대한 학술연구를 함께 추진하고, 고구려문화유산 보전 자금 지원 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63개 고분굴에 대한 보존 및 수리 비용 지원과 학술적 연구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남북한 협력을 적극 강화해나가겠다"고 답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명실상부한 '외교안보 팀장'의 자리를 굳힌 정 장관에 대한 야당의 견제도 있었다.
한나라당 정문헌(鄭文憲) 의원은 정 장관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 겸직과 관련, "장관은 통일.외교.국방 등 안보 분야의 '소통령'으로 등극하게 됐다"며 "이는 '인치(人治)의 근절, 시스템 정치'를 외쳤던 노무현(盧武鉉) 정부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박성범(朴成範) 의원은 "초법적으로 내각을 팀제로 묶어서 책임장관 제도 하에서 운영되는게 안보, 사회분야서 효율적이고 좀더 원만한 내각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라고 가세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외교.통일.안보.정보는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 협의조정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며 "이런 역할을 잘 해달라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응수했다.
특히 정 장관은 이날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아픈 지적이다", "공감한다" 고 답하는 등 '몸을 낮추는' 모습을 보여줬다.
정 장관은 우리당 최 성 의원이 "일반회계 예산액 653억원을 가지고 중차대한 남북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느냐"며 예산상의 문제점을 지적하자 "아픈 지적이다. 필요한 지적을 해줬다. 시정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같은 당 한명숙 의원이 지난달 말 대규모 탈북자의 국내 이송에 대해 "이것이 남북회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하지 못했는가"고 묻자 "아픈 부분을 지적해줬다. 조용하게 처리됐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