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정부는 '고구려사 관련 제2차 실무대책협의회'를 갖고 최근 중국측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에 대해 범 정부차원의 대책을 논의했으나 구체적 대응책은 밝히지 않았다.

중국은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고구려사를 삭제한데 대한 우리 정부의 항의를 받고 5일 1945년 8월 15일 우리 정부수립 이전의 모든 역사를 홈페이지에서 삭제해 파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수혁, "심각한 우려 표명"

▶이수혁 차관보.
[사진 - 통일뉴스 김규종기자]
대책협의회가 끝난 뒤 위원장인 이수혁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브리핑을 갖고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의 관리는 전적으로 중국측 소관이지만 "삭제가 자연스런 삭제가 아니라 왜곡한 부분을 지적해서 시정하라 했더니 전체를 삭제함으로써 또다른 문제를 제기 하는 것 같이 보이는 상황"이라며 "문제는 외교부 홈페이지에 없어진 것이 문제가 아니라 계속해서 다른 방법으로 왜곡을 시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수혁 차관보는 '남북한간 학술교류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혔으나 최근 남북간의 상황이 "그렇게 긍정적인 상황이 아닌 것 같다"며 "장관급회담이 열리는 등 어떤 상황이 진전이 될 때에 남북한간의 학술교류나 학술토론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오늘 이봉조 통일부 차관도 정례 기자회견에서 "장관급회담이 열리기 전이라도 고구려사 유적 지원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회담을 (북측에)제의할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 "아직 그럴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이 차관보는 "내용이 복잡하고 잘못 발언하면 외교적 마찰이 있을 수 있다"며 말을 아끼고 "홍보자료라든지 역사교과서를 통해서 중국측이 고구려사가 중국사라고 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관철해나갈 것이 우려되기 때문에 저희들이 심각한 우려를 표명을 하고 그런 일이 없도록 하는 대응을 하는 것"이라고만 설명했다.

실무대책협의회에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무조정실, 통일부, 교육인적자원부, 외교통상부, 문화관광부, 국정홍보처, 국사편찬위원회 등 관계부처 실무자들이 참석했으며, 오후 3시부터 4시 30분까지 1시간 30분여에 걸쳐 외교통상부 3층 소회의실에서 진행됐다.

여야, 남북 공동대처 한 목소리

한편 정치권에서도 중국에 대한 강력한 대응책이 모색되고 있다.

천정배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는 6일 기자간담회에서 "중국 정부가 즉각적인 원상회복을 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재발방지 할 것을 요구한다"며 "국회차원의 공동대책 기구를 구성해서 고구려사 왜곡 문제를 다루겠다"며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면서 "고구려사 왜곡문제야말로 남북이 공조해서 대처하기에 적절한 문제"라고 말했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도 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부의 미온적 대처를 비판하면서 "고구려사 왜곡 문제는 민족의 정체성 흔드는 일"이라며 "이 문제는 북한의 문제이기도 하기에 정부가 이 문제는 북과 협력해서 공동대응하자는 제의도 적극 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여야는 수석원내부대표 회담을 통해 국회에서의 공동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착수했다.

이처럼 여여가 한 목소리로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고 국회에서 공동행동에 나서기로 했을 뿐만아니라 남북간 공동대처를 촉구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