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의원 등은 제3차 6자회담을 계기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논의의 기반이 마련됐다고 평가하면서 우리 정부의 주도적 역할을 주문한 반면, 한나라당의 일부 보수성향 의원은 우리 정부가 미국측 입장보다는 북핵동결을 주장하는 북한측 입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 우리당 의원들은 김 위원장의 답방을 한반도 평화의 전기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데 비해 한나라당 의원들은 투명한 답방절차를 강조하면서 우리 사회의 이념갈등과 대립을 우려했다.
열린우리당 임종인(林鍾仁) 의원은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려고 하는 것은 재래식 군사력으로는 도저히 남한과 경쟁이 되지 않기 때문으로,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을 해주면 핵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며 "우리 정부가 먼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북에 상호군비축소를 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안상수(安商守) 의원은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내 온건파들이 주도권을 회복하면서 북한과 핵문제 해결을 위해 전향적 태도와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며 "우리정부와 중국정부의 중개노력이 북핵문제 해결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송영선(宋永仙) 의원은 "미국은 북한이 과거의 핵은 완전히 폐기하고 현재와 미래의 핵 개발도 포기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반해 북한은 현재의 핵상태로 동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한국정부는 북한의 핵 동결상태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데 이는 핵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이 아니라 핵문제를 덮어 두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 우리당 이경숙(李景淑) 의원은 "우리 정부의 '선(先) 북핵문제 해결-후(後) 남북정상회담' 원칙보다는 남북정상회담 등 적극적인 남북간 교류.협력이 북핵문제 해결에 더욱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안상수 의원은 "많은 국민들은 경제도 어렵고 북한 핵문제도 아직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장 답방이 이뤄져야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을 가지고 있다"며 "답방은 정략적 밀실, 뒷거래, 이벤트식, 흥정식으로 추진돼서는 결코 안되며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국민적 합의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